| Home | E-Submission/Review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 Volume 61(9); 2023 > Article
해양구조용 18Mn(V, Mo)강 내 Cr 첨가가 해수환경 내 부식-마모 복합거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ear-corrosion behavior of 18Mn(V, Mo) steel, which had a minor amount of Cr addition (< 3 wt%), in an artificial seawater environment, and compare it to conventional carbon steel. A variety of electrochemical experiments, including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impedance spectroscopy, and galvanostatic polarization, were conducted, along with weight loss measurements after immersion and wear-corrosion testing. These tests aimed to determine the static corrosion and wear-corrosion mechanisms of 18Mn(V, Mo) steel with respect to Cr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Cr to 18Mn(V, Mo) steel refined the V4C3 particles in the microstructure, which led to an increase in surface hardness. Moreover, the 18Mn(V, Mo) steel with Cr addition exhibited the lowest corrosion and corrosion-wear losses, compared to 18Mn(V, Mo) steel without Cr and conventional carbon steel. This beneficial effect wa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thin Cr-enriched corrosion scale that adhered to the underlying steel. This corrosion scale served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the penetration of corrosive species and as a lubricant for mechanical wear. The 18Mn(V, Mo) steel with Cr addition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particularly in marine and offshore environments, owing to its low corrosion-induced wear loss rate in a brine environment.

1. 서 론

해양은 부식유기 물질이 다량 함유된 환경으로 해양환경 내 적용 강재는 우수한 내식성이 요구되고 있다[1-3]. 해양구조용 강재의 부식 손상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해수 내 침지된 조건에서 균일부식에 따른 두께 감소와 함께 해수의 유동 및 구조물들 간 마찰/마모에 의한 표면 열화는 강재의 적용 수명 단축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4-6]. 이와 관련하여 일반 구조용 탄소강 대비 기계적 물성 및 우수한 내식성을 갖춘 강재 적용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한편, 산업이 고도화 됨에 따라 다양한 강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18 wt%의 Mn을 함유한 고Mn강의 경우 강도, 경도, 내마모성, (저온)인성 등이 우수하여 마모 및 침식이 수반되는 산업영역에 적합한 강재로 간주되고 있다[7,8]. 또한,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FCC (Face-centered cubic) 구조를 형성하는 고Mn강은 Twin 변형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높은 인장강도 및 연신율 확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성형 및 가공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에 속한다[9,10]. 하지만, 고Mn강의 경우 염수환경 내 노출 시 Mn의 빠른 양극용해반응 (Mn → Mn2+ + 2e-)에 기인하여 안정적인 표면 부식생성물의 형성이 불리하며[11-13], 형성되는 부식생성물 또한 표면 보호 효과가 낮은 Fe(Mn) 기반의 산화물로서 장기적인 고내식 특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16]. 이에 따라, 학계 및 산업계에서 고Mn강의 열위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미량의 Cr을 첨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고 있다. Sun et al. [17]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고Mn강 내 첨가되는 미량의 Cr은 부식환경 내 노출 시 Fe 기반 부식생성물 내 Cr이 일부 치환되어 생성물 입자의 수축에 기여하며 장기적인 부식반응 억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r 첨가를 통한 고Mn강의 표면 보호기능에 대한 연구는 중성 수용액 환경 조건[18]뿐 아니라 CO2를 함유한 산성 수용액 조건[19]에서도 이루어진 바 있다. 하지만, 고Mn강 내 Cr이 첨가된 강재를 대상으로 부식-마모의 복합 환경 내 표면열화 거동과 학술적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강재의 마모와 부식 특성을 각각 독립적인 환경 조건 하에서 평가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으며, 부식/마모 상호간 시너지효과에 대한 분석은 전통적인 탄소강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졌다. 특히, 강재 내 합금첨가에 기인한 표면 부식반응 변화와 동종강재 간 기계적 마모 저항성의 상관성 규명에 대한 보고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구조용 탄소강과 18 wt%의 Mn 및 미량의 Cr, V, Mo가 첨가된 고Mn강을 대상으로 해수환경 내 부식과 마모 그리고 부식/마모의 복합 거동을 규명하여 이를 산업적 활용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2. 실험방법

2.1 시편정보, 미세조직 관찰 및 비커스 경도 측정

본 연구의 대상 소재는 미량의 Cr (< 3 wt%) 첨가 유무에 따른 두 종류의 고Mn강 (18 wt% Mn강)과 일반 구조용 탄소강이며 각 시편의 화학적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미세조직 관찰을 위해 각 시편 (10 × 10 × 5 mm3)을 마운팅 한 후 SiC paper #2400까지 기계적 연마 및 1 μm까지 미세연마를 수행하였다. 이후, 3% Nital (3 mL HNO3 + 97 mL ethanol) 용액에서 10 ~ 15초 간 화학적 에칭을 하였으며 이후, 전계 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및 후방산란전자 회절분석기(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을 활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또한, 투과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법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통해 미세조직 내 미세 석출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편 별 경도 측정을 위해 비커스 경도기를 사용하여 시험 하중 2.94 N으로 15초 동안 유지하였으며, 각 시편당 1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정전류 모드로 분극된 시편을 대상으로 0.49 N 하중 하에서 15초간 유지하며 부식반응에 따른 표면 경도 값 변화를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영역만의 표면 경도 측정을 위해 비교적 낮은 하중을 인가하여 평가하였다.

2.2 전기화학적 분극거동 분석

시편의 부식거동 분석을 위해 Flat-type cell을 활용하여 인공해수 (ASTM D1141-98 [20]) 수용액 내에서 전기화학적 선형분극저항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LPR), 임피던스 (Electroch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및 정전류분극 (Galvanostatic polarization)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전기화학적 실험은 작업전극 (Working electrode, WE), 상대전극 (Counter electrode, CE) 및 기준전극 (Reference electrode, RE)으로 이루어진 3전극이 적용되었으며, 기준전극과 상대전극으로 각각 포화 칼로멜전극 (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과 mesh 형태의 백금전극이 사용되었다. 선형분극저항 실험은 시편의 개방 회로전위 (Open circuit potential, OCP) 대비 -0.02 V ~ 0.02 V 전위 구간을 0.3 mV/s의 속도로 상승시키며 도출되는 전류밀도를 14일간 측정하였다. 이후, 실험 결과를 Wagner-Traoud (식 (1)) [21] 및 Stern Geary (식 (2)) [22]을 통해 fitting하여 각 시편의 부식전류밀도(corrosion current density, icorr)를 도출하였다.
(1)
i=icorrexp(2.303(E-Ecorr)βa)-exp(-2.303(E-Ecorr)βc)
(2)
icorr=βaβc2.303·Rp·(βa+βc)
여기서, i는 Fitting된 이론적 전류밀도 (A/cm2), icorr는 부식 전류밀도 (A/cm2), Ecorr는 부식 전위 (VSCE), βa, βc는 각각 양극, 음극 Tafel 기울기 (V/decade), RP는 분극 저항 (Ω·cm2)을 나타낸다.
임피던스 실험은 OCP 기준 ± 10 mV의 전위를 교류방식으로 인가하고 100,000 ~ 0.01 Hz의 Frequency 범위에서 도출되는 분극 저항을 비교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량 분석을 위해 Nyquist plot을 등가회로를 기반으로 Fitting 하여 다양한 변수 값들을 도출하였다. 정전류분극 실험의 경우, 0.1 ~ 10 mA/cm2 범위의 전류를 10분간 인가하였고, 종료 직후 cell에서 분리하여 에탄올 내 초음파 세척하였다.

2.3 부식, 마모 및 부식-마모 복합 거동 분석

시편 별 부식감량 측정을 위해 시편 (30 × 30 × 5 mm3)을 SiC paper #1200까지 연마하여 인공해수 내 14일 동안 침지 후 꺼내어 에탄올에서 초음파 세척하였다. 이후, 전자저울을 활용하여 침지 전·후에 따른 무게감량을 측정하였으며 부식 속도 (Corrosion Rate, Corr. rate) 도출을 위해 식 (3)을 활용하였다. 여기서, 도출되는 값은 마모효과가 배제된 순 부식량 (C0)에 해당된다.
(3)
Corr·rate(g/cm2·h)=W1-W2A·h
여기서, W1는 침지 전 무게 (g), W2는 침지 후 무게 (g), A는 시편 표면적 (cm2), h는 실험시간 (336 h)을 나타낸다.
그림 1(a)는 마모 및 부식-마모 복합 거동 (부식유기마모 및 마모유기부식)에 따른 무게감량 측정을 위해 제작된 장비 모식도 (중심부 시편홀더에 시편을 장착하고 그 상부에 동종소재로 가공된 Pin (Radius: 3.5 mm) 형태의 시편이 일정한 속도로 선형-반복 운동하며 마모되고 그 상부에 무게 추를 장착하여 마모 하중 인가가 가능하도록 제작됨)이며, 용액에 노출된 시편이 외부와 전기적 접촉이 가능하도록 시편홀더 하단부로 전선연결이 이루어졌다 (그림 1 (b)).
부식반응을 배제하며 마모효과로 인한 감량 측정을 위해 Cell 내 탈기된 0.1M NaOH 수용액에서 동일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일정한 하중 (29.5 N) 하에서 7 cm/s의 속도로 10시간 마모 후 14시간 침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총 14일간 마모와 침지가 반복 수행된 시편을 홀더에서 분리하여 증류수 내 초음파 세척하고 전자저울을 통해 마모 전·후에 따른 무게감량을 측정하여 식 (3)을 통해 순마모감량 (W0)의 부식속도 값을 도출하였다. 부식과 마모의 복합거동에 기인한 무게감량 측정을 위해 인공해수 내에서 부식-마모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시편의 형상/크기 및 기타 실험조건 등은 상기 언급된 마모실험과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도출된 무게감량은 부식-마모 복합거동에 의한 전체감량 (VT)에 해당되며 이는 전체 부식 감량 (VC)과 전체 마모감량 (VW)의 합으로 표현되며, 전체 부식감량 (VC)은 순 부식감량 (C0)과 마모유기 부식감량 (CW)으로, 그리고 전체 마모감량 (VW)은 순 마모감량 (W0)과 부식유기 마모감량 (WC)으로 세분화된다. 이는 아래 식으로 간략히 표기될 수 있다[23,24].
(4)
VT=VW+VC=W0+WC+CW+C0
(5)
VW=VT-VC
(6)
WC=VW-W0
(7)
CW=VC-C0
여기서, VC는 부식-마모 실험조건에서 실험 후 수행된 선형분극저항 실험 결과를 토대로 Curve-fitting 하여 시편 별 도출된 icorr 값으로부터 식 (8)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8)
VC=MicorrnF×104
여기서 M, n, F는 각각 시편의 원자량(g/mol), 부식반응에 참여한 전자 수, 패러데이 상수 (96,485 C/mol)를 나타낸다. 도출된 VC 값과 부식환경 내 침지하여 측정한 무게감량 값에 해당되는 C0 값과의 차이를 통해 CW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식 (7)). 또한, 식 (5)로부터 도출된 VW 값과 순 마모량 (W0)의 차이로부터 WC 값이 도출된다.

2.4 부식-마모 손상부 표면 형상 관찰

부식-마모 복합거동에 의한 시편 표면의 손상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부식-마모 실험 종료 후 시편을 분리하여 에탄올 내 초음파 세척을 통해 불안정한 부식생성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단면형상 관찰을 위해 콜드마운팅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운팅 시편을 SiC paper #2400까지 연마 후 1 μm까지 미세연마 하였다. 이후 FE-SEM을 사용하여 표· 단면 형상을 관찰하였고, EDS를 통해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미세조직 분석

그림 2는 FE-SEM을 통해 관찰된 각 시편 별 미세조직 형상을 나타낸다. C.S 시편의 미세조직은 Ferrite 기지 내 Cementite가 석출된 형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18Mn 및 18Mn-Cr 시편의 경우 Austenite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지 및 결정립계 영역에 일부 탄화물(V4C3)이 석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재 내 미량 첨가된 V은수-수십 nm 크기의 V-carbide 형태로 석출되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25], Replica 방식으로 미세석출물을 채취한 후 TEM 분석을 수행하였다. TEM-EDS 분석결과 (그림 3), 18Mn의 경우 V-carbide 내부에 Mo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18Mn 대비 미세한 V-carbide가 석출된 18Mn-Cr의 경우 Cr, Mo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V, Mo, Cr은 유사한 크기의 원자 반경으로 인해 V-carbide 내 Cr, Mo 성분이 일부 치환[26]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V-carbide 내 치환되는 원자의 분율이 높을수록 핵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V의 확산이 억제되어 미세한 V-carbide가 형성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27,28]를 토대로 판단하건데, Cr, Mo가 복합 치환된 18Mn-Cr 시편 내 석출되는 V4C3 및 결정립 크기가 18Mn 대비 미세하게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4는 각 시편의 비커스 경도의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C.S. (257 HV), 18Mn (346 HV), 18Mn-Cr (485 HV) 순서로 경도 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내는 18Mn 및 18Mn-Cr의 경우, 기본적으로 Twin 변형 메커니즘과 기지 및 입계에 석출된 미세 V4C3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Cr의 첨가로 인한 경도 증가는 고용강화[29]와 입자미세화, 그리고 적층 결함에너지 (Stacking Fault Energy, SFE) 감소[30]로 인한 Twin 변형 용이성 등으로 판단된다.

3.2 전기화학적 분극 및 침지 실험결과

시편의 장기 내식성 평가를 위해 14일간 LPR 및 EIS 실험이 수행되었고 그 결과에 대한 정량변수 값들을 각각 그림 5표 23에 나타내었다. LPR 실험 결과에서, 18Mn-Cr의 Ecorr 값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icorr 값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EIS 결과 또한 LPR 결과와 상응하는 것으로, 18Mn-Cr의 경우 가장 높은 Rp 값이 도출되어 장기적인 내식성이 우수함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림 6는 부식 환경 내 침지 후 측정된 부식속도 결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정의 하고 있는 순 부식량 (C0) 값의 경우와 동일하게 18Mn > C.S. > 18Mn-Cr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앞서 수행된 전기화학실험 결과 (LPR 및 EIS)와 유사한 거동임을 판단할 수 있다. 18Mn 시편의 경우, 표면으로부터 Mn 성분이 지속적으로 용출 (Mn → Mn2+ + 2e-)됨과 함께 안정적인 Mn 기반 산화물 축적 및 형성이 이루지지 않음[11]을 바탕으로 내식성이 가장 열위함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 18Mn-Cr의 경우 18Mn과 동일하게 높은 Mn 함량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Cr의 경우 Mn과 유사하게 부식 초기에 빠른 용출 (Cr → Cr3+ + 3e-)이 이루어지지만 Mn과는 상이하게 약산성 및 중성 환경 내에서 치밀한 형태의 (수)산화물의 형태로 석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Matrix와의 접착도가 우수하여 부식유기물질의 접근 억제와 Matrix/Cr 농화 산화물 계면에서 추가적인 양극용해 반응이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31]. Cr 농화 산화물의 형성에 기인한 부식유기 음이온의 접근 억제 특성은 타 연구[32]에서 논의되어 본 연구에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3.3 마모 및 부식-마모 복합 실험결과

그림 7은 우선 부식반응이 배제된 조건에서 순 마모량 (W0)에 따른 부식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도는 마모 저항성에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서, 경도가 높을수록 마모에 의한 열화수준은 낮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33,34]. 이에 따라, 우수한 표면 경도 값에 기인하여 18Mn-Cr의 마모량이 현저하게 낮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C.S.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18Mn의 감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 내 동종소재 (18Mn) 간 마모에 의해 비교적 조대한 V-carbide 탈락에 의한 추가적인 연마 작용으로 인해 높은 마모량이 측정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강재의 기계적 특성 중 표면 경도 값 증가에 따라 마모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동종소재 간 마모에 있어서는 소재 내 존재하는 석출물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마모 저항성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8표 4는 부식-마모 복합 부식속도 측정 결과 (VT)로서 순 부식감량 (C0), 마모유기 부식감량 (CW), 순 마모감량 (W0), 부식유기 마모감량 (WC) 각각의 크기를 분포도로 나타낸 것이다. VT 를 결정함에 있어 C0CW가 차지하는 비율은 낮은 편이며 순수 마모 및 부식유기 마모 (W0WC)에 의한 감량 수준이 전체 감량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시편 간 VT 차이는 18Mn-Cr이 현저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며, 마모 및 부식에 의한 감량이 고르게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재는 부식으로 인해 표면 경도 저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부식유기 마모량 증가를 설명하는 선행 연구[35]가 있으나, 18Mn-Cr강의 경우 Cr 농화 생성물(FeCr2O4)형성으로 인해 부식 유기 경도 저하가 제어된 것으로 WC 분율이 타 시편 대비 낮게 측정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부 Matrix와의 접착도가 높은 Cr 농화 산화물의 형성은 부식마모 과정 중 일부 Lubricant의 역할[36]이 가능하며 또한, 고Mn강 내 Cr 첨가로 인해 감소된 적층 결함에너지[30]가 마모 시 Twin 분율 증가를 유도하여 표면 경도 증가 측면에서 추가적인 마모손상을 일부 제어한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 18Mn의 경우 비교적 높은 표면 경도 값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VT 가 가장 높고 WC 비율이 큰 폭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결국 18Mn의 경우 부식마모 과정 중 치밀하고 높은 접착성을 갖지 않는 부식생성물(Fe3O4)의 형성으로 지속적인 양극용해반응에 노출되며, 마모에 대해 Lubricant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없어 부식-마모 환경 내 적용 적합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부식유기 마모현상에 대한 메커니즘적 이해를 위해 정전류 기반의 부식실험 후 표면 경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그림 9). 대체로 인가되는 양극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C.S.은 일정 수준의 전류밀도까지 경도 감소 후 유지된 반면, 18Mn의 경우 경도 감소는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즉, 세 시편 중 18Mn의 경우가 부식반응의 증가를 유도함에 따라 표면 경도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18Mn의 높은 WC는 결국 부식유기 표면 경도 감소 메커니즘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18Mn-Cr의 경우 우수한 내식성과 함께 부식반응 증가 유도에 따른 표면경도 감소 정도가 낮고 결국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WCVT로 도출됨을 짐작할 수 있다.
부식-마모 실험 후 각 시편의 표·단면 형상을 관찰한 결과 (그림 10), 18Mn 및 C.S. 시편의 경우 마모 및 부식 유기마모에 의해 국부적으로 탈락된 기지 영역이 존재했으며, 마모 영역 내 부식생성물이 잔존해 있지 않아는 것으로 판단컨대 부식생성물 보호에 의한 부식-마모 저항성 향상 효과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18Mn-Cr 의 경우(그림 10(c)9(f)) 마모영역에 Cr 농화 부식생성물이 형성되어 부식-마모 실험 후에도 잔존하고 있었으며 마모작용에 대해 Lubricant 역할로 인한 일부 기지 보호효과가 존재할 수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치밀한 형태의 Cr 농화 산화물 형성에 따른 마모 시 Lubricant 효과는 선행연구[36]에서 마찰계수 값 감소와 본 연구 내 부식-마모 작용에 따른 소음감소 효과에서도 일부 간접적으로 추측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 언급된 기구로 부식반응 억제와 함께 VT 에서 WC가 차지하는 분율 감소를 이해할 수 있으며 높은 경도 값에 기인하여 마모에 의한 기지 손상 정도가 매우 낮고 가혹한 마모 작용 하에서도 Cr 농화 산화물의 형성 및 잔존은 지속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해수의 유동 및 동종 재료 간 마찰/마모가 발생되며 부식유기 물질이 다량 존재하는 해양구조용 강재로의 적용에는 미량의 Cr 첨가를 통해 내식성 및 부식-마모 저항성이 개선된 18Mn-Cr의 선정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조대한 V4C3의 석출 제어와 함께 용접 및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 등을 통한 탄화물 석출 측면에서 일정 함량 이상의 합금성분 첨가는 배제해야 하며, 실 산업 적용 측면에서 임계 합금성분 도출 및 Cr, Mo, V 단독 첨가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강(C.S.), 18Mn(V, Mo), 18Mn(V, Mo)-Cr을 대상으로 부식-마모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인공 해수에서 전기화학 실험, 무게감량 측정 및 표·단면 형상 분석을 수행하였고,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략히 요약된다. 전형적인 Ferrite 기지 내 미량 Cementite가 석출된 C.S.와 달리 18 wt% Mn을 함유한 고Mn강 (18Mn과 18Mn-Cr)의 경우 Austenite 기지 및 입계에 V-carbide (V4C3)가 석출되었는데 Cr 첨가 (< 3 wt%)는 V4C3 및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며 표면 경도를 향상시켰다. 전기 화학적 부식실험 및 무게감량 측정 결과, C.S. 및 18Mn 대비 18Mn-Cr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부식전류밀도와 부식 감량, 높은 분극저항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부식 초기 Mn 과 함께 Cr의 양극용해반응 이후 Cr 농화 산화물의 형성 및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부식성 입자들의 접근 및 계면에 서의 추가적인 양극용해 반응의 효과적인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식-마모 복합 거동 분석결과, 18Mn-Cr의 경우 가장 낮은 부식감량 및 부식유기 마모감량으로 전체적인 부식-마모 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모에 의한 기지 손상 정도 또한 낮았으며 가혹한 마모 작용 하에서도 Cr 농화 산화물의 형성 및 잔존은 지속되었다. 즉, Cr 첨가로 인한 V4C3 및 결정립의 미세화에 기인한 경도 향상과 적층 결함에너지 감소에 따른 변형 시 Twin 생성 용이성, Cr 농화 산화물의 우수한 접착력 및 기지보호 기능 등의 특성으로 인해 유동과 마찰/마모가 수반되는 해양환경 내 18Mn(V, Mo)강의 적용 적합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in par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 (No. 2022R1A2C4001255).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the wear-corrosion test developed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 (b) magnified image of black box shown in Fig. 1(a).
kjmm-2023-61-9-633f1.jpg
Fig. 2.
Microstructure observation of the samples using FE-SEM and EBSD phase fraction map: (a,d) C.S., (b,e) 18Mn, and (c,f) 18Mn-Cr.
kjmm-2023-61-9-633f2.jpg
Fig. 3.
EDS point analyses at the precipitates using TEM: (a) 18Mn and (b) 18Mn-Cr.
kjmm-2023-61-9-633f3.jpg
Fig. 4.
Vickers hardness of the three samples.
kjmm-2023-61-9-633f4.jpg
Fig. 5.
(a) LPR curves (Semi-log format) and (b) EIS Nyquist plots of the three tested sample, obtained after immersion in an ASTM D1141-98 solution for 14 days.
kjmm-2023-61-9-633f5.jpg
Fig. 6.
Weight losses of the three tested samples measured after immersion test in an ASTM D1141-98 solution for 14 days.
kjmm-2023-61-9-633f6.jpg
Fig. 7.
Weight losses of the three tested samples measured after wear test in a deaerated 0.1 M NaOH solution for 14 days.
kjmm-2023-61-9-633f7.jpg
Fig. 8.
Weight loss (W-C Rate) of the three samples measured after corrosion-wear test in an ASTM D1141-98 solution for 14 days.
kjmm-2023-61-9-633f8.jpg
Fig. 9.
(a) Vickers hardness measured after the galvanostatic polarization test; (b) normalized hardness values of (a).
kjmm-2023-61-9-633f9.jpg
Fig. 10.
Surface and cross-section morphology observations of the three samples: (a,d) C.S., (b,e) 18Mn, and (c,f) 18Mn-Cr.
kjmm-2023-61-9-633f10.jpg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hree tested steels
Fe C Si Mn Cr V Mo Ni
Carbon steel (C.S.) Bal. 0.1 ~ 0.3 < 0.4 < 1.7 < 0.8 < 0.008 < 0.355 < 0.2
18Mn Bal. < 1.0 - 18 - < 1 < 0.5 -
18Mn-Cr Bal < 1.0 - 18 ~ 3 < 1 < 0.5 -
Table 2.
Several fitted parameters obtained by curve-fitting to LPR data of the tested samples (Ecorr, βa, βc, and icorr are the corrosion potential, anodic Tafel slope, cathodic Tafel slope, and corrosion current density, respectively)
Parameters 14 days immersion
C.S. 18Mn 18Mn-Cr
Ecorr -0.6925 -0.7692 -0.6385
βa 0.033 0.03 0.03
βc 0.03 0.02 0.07
icorr 3.6E-5 5.22E-5 2.28E-5
Table 3.
Several parameters obtained by curve-fitting to EIS Nyquist plots of the tested samples (Qf, Rf, Qdl, and Rct are capacitance of surface film, resistance of surface film, double layer capacitance at the solution/metal interface,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 at the solution/metal interface, respectively)
Parameters 14 days immersion
C.S. 18Mn 18Mn-Cr
Qf (mf·cm-2·sn-1) 1.24E-2 6.06E-2 2.43E-12
Rf (Ω·cm2) 27.89 1.411 3.99
Qdl (mf·cm-2·sn-1) 9.67E-3 9.17E-2 2.81E-3
Rct (Ω·cm2) 135.7 98.28 477.9
Table 4.
Four individual components composed of total wearcorrosion rate (VT) of the tested samples (C0, CW, WC and W0 are pure corrosion, wear-enhanced corrosion, corrosion-enhanced wear, and pure wear, respectively)
Parameters C.S. 18Mn 18Mn-Cr
C0 3.48E-6 4.2E-6 8.22E-7
CW 2.08E-5 7.74E-5 5.23E-5
WC 3.6E-4 4.78E-4 4.16E-5
W0 1.11E-4 3.49E-4 1.21E-4
VT 4.95E-4 9.09E-4 2.16E-4

REFERENCES

1. S. J. Kim, Mater. Sci. 44, 3 (2011).

2. Y. Ma, Y. Li, and F. Wang, Corros. Sci. 51, 997 (2009).
crossref
3. H. Liu, Z. Jin, Z. Wang, H. Liu, G. Meng, and H. Liu, Bioelectrochemistry. 149, 108279 (2023).
crossref
4. M. Maher, I. I. Arregui, H. B. Youcef, B. Rhouta, and V. Trabadelo, Mater. Today: Proc. 51, 1975 (2022).
crossref
5. J. Li, H. Qiu, X. F. Zhang, H. L. Yu, J. J. Yang, X. H. Tu, and W. Li, Wear. 496, 204288 (2022).

6. H. Chen, D. Zhao, Q. Wang, Y. Qiang, and J. Qi, Friction. 5, 447 (2017).
crossref pdf
7. M. Sabzi and M. Farzam, Mater. Res. Express. 6, 1065c2 (2019).
crossref pdf
8. R. Dalai, S. Das, and K. Das, Wear. 420, 176 (2019).

9. Z. M. He, Q. C. Jiang, S. B. Fu, and J. P. Xie, Wear. 120, 305 (1987).
crossref
10. B. C. D. Cooman, Y. Estrin, and S. K. Kim, Acta Mater. 142, 283 (2018).

11. Y. J. Jeong, J. S. Park, H. R. Bang, S. G. Lee, J. K. Choi, and S. J. Kim, Corros. Eng. Sci. Technol. 20, 373 (2021).

12. S. O. Kim, J. K. Hwang, and S. J. Kim, Corros. Eng. Sci. Technol. 18, 300 (2019).

13. M. B. Kannan, R. K. S. Raman, and S. Khoddam, Corros. Sci. 50, 2879 (2008).
crossref
14. J. H. Park, H. S. Seo, K. Y. Kim, and S. J. Kim, J. Electrochem Soc. 163, C791 (2016).
crossref
15. L. Hao, S. Zhang, J. Dong, and W. Ke, Corros. Sci. 53, 4187 (2011).
crossref
16. S. Fajardo, I. Llorente, J. A. Jimenez, J. M. Bastidas, and D. M. Bastidas, Corros. Sci. 154, 246 (2019).
crossref
17. H. Sun, B. G. Palomares, W. Qu, G. Chen, and H. Wang, J. Alloys Compd. 803, 250 (2019).
crossref
18. Y. J. Jeong, S. O. Kim, J. S. Park, J. W. Lee, J. K. Hwang, S. G. Lee, J. K. Choi, and S. J. Kim, NPJ Mater. Degrad. 5, 47 (2021).

19. J. H. Park, H. S. Seo, K. Y. Kim, and S. J. Kim, J. Electrochem. Soc. 163, C791 (2016).
crossref
20. ASTM D1141-98, Standard practice of preparation of substitute ocean water, ASTM International. (2021).

21. C. Wagner and W. Traudm, Z. Elektrochem. 44, 391 (1938).
crossref
22. M. Stern and A. L. Geary, J. Electrochem. Soc. 104, 56 (1957).

23. J. Liu, J. Wang, and W. Hu, Int. J. Electrochem. Sci. 14, 262 (2019).
crossref
24. ASTM G119-04, Standard Guide for determining synergism between wear and corrosion, ASTM International. (2006).

25. H. W. Yen, M. Huang, C. P. Scott, and J. R. Yang, Scr. Mater. 66, 1018 (2012).
crossref
26. Y. Gao, Y. Liu, L. Wang, X. Yang, T. Zeng, L. Sun, and R. Wang, Surf. Coat. Technol. 435, 128264 (2022).
crossref
27. M. Goune, P. Maugis, and F. Danoix, Nanotechnol. Rev. 4, 517 (2015).

28. Z. A. Guenechea and S. E Offerman, S. E. Offerman/Critical Materials, pp. 193–221, World Scientific, Netherlands (2019).

29. J. Gu, J. Li, R. Chang, and L. Li, Mater. Sci. Eng. 766, 138386 (2019).
crossref
30. C. Chen, B. Lv, H. Ma, D. Sun, and F. Zhang, Tribol. Int. 121, 389 (2018).
crossref
31. M. Sun, C. Du, Z. Liu, C. Liu, X. Li, and Y. Wu, Corros. Sci. 186, 109427 (2021).
crossref
32. Y. M. Hyun and H. S. Kim, Korean J. Met. Mater. 54, 68 (2016).
crossref
33. M. N. Mandikos, G. P. Mcgivney, E. Davis, P. J. Bush, and J. M. Cater, J. Prosthet. Dent. 85, 386 (2001).
crossref
34. M. A. A. Bukhaiti, S. M. Ahmed, F. M. F. Badran, and K. M. Emara, Wear. 262, 1187 (2007).
crossref
35. S. Yin, D. Y. Li, and R. Bouchard, Wear. 263, 801 (2007).
crossref
36. C. Luo, J. Jin, Y. Zhang, and Y. Sun, J. Mater. Res. Technol. 17, 612 (2022).

Editorial Office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6th Fl., Seocho-daero 56-gil 38, Seocho-gu, Seoul 06633, Korea
TEL: +82-2-557-1071   FAX: +82-2-557-1080   E-mail: metal@kim.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Developed in M2PI